본문 바로가기
교육

'올바르다' '옳바르다' 무엇이 맞는 표현일까? 차이점과 예시 정리.

by 패트리어트.KR 2024. 12. 24.

우리말을 사용할 때 종종 "올바르다"와 "옳바르다"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 헷갈릴 수 있어요. 이러한 혼동은 우리말 어휘의 의미와 형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 발생하기도 해요. 이번 글에서는 "올바르다"와 "옳바르다"의 정확한 의미와 쓰임새를 살펴보고,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올바르다' '옳바르다' 무엇이 맞는 표현일까? 차이점과 예시 정리.

올바르다와 옳바르다: 무엇이 맞는 표현일까?

올바르다의 의미

"올바르다"는 "행동이나 상태가 바람직하고 정확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이는 상황이나 조건에 맞게 적절한 선택을 하거나 올곧은 판단을 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에요.

예:

  • "그의 결정은 매우 올바른 판단이었어요."
  • "우리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해요."

옳바르다의 의미

"옳바르다"라는 표현은 표준어가 아니에요. "옳다"와 "바르다"라는 두 단어가 결합된 듯 보이지만, 실제로 국어사전에서 인정하지 않는 비표준어예요. 따라서 "옳바르다"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맞아요.

관련글👇

 

'굳이' '궂이' 뭐가 맞는 표현일까? 뜻과 차이점.

굳이와 궂이는 발음이 비슷해 헷갈리기 쉬운 우리말이에요. 특히 글을 쓰거나 말을 할 때 이 두 단어의 의미를 혼동하면 문장이 어색해지거나 본래의 의도와 다르게 전달될 수 있어요. 이 글에

patriotkr.tistory.com

 

"무난하다" "문안하다" 맞는 표현은? 차이점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한 발음이나 형태로 혼동하기 쉬운 단어들이 많아요. 무난하다와 문안하다 역시 그런 경우에 해당하는데요. 이 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하지만 의미와 쓰임새는 전혀 달라요. 글

patriotkr.tistory.com

올바르다와 옳다의 차이

올바르다

"올바르다"는 상황, 선택, 태도 등이 정당하고 적합함을 강조할 때 사용돼요. 구체적인 행동이나 판단이 바람직하다는 뜻이에요.

예:

  •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가야 해요."
  • "아이들에게 올바른 교육을 제공해야 해요."

옳다

"옳다"는 어떤 주장이 논리적으로 맞거나 사실에 부합한다는 뜻이에요. 주로 진리나 사실을 판단할 때 쓰이는 말이에요.

예:

  • "그 말은 옳은 지적이에요."
  • "이 이론이 옳다고 증명되었어요."

올바르다의 올바른 사용법

태도와 가치관

"올바르다"는 주로 태도, 행동, 가치관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을 기술할 때 사용돼요. 특정 상황에서 바람직하고 적합한 행동을 설명할 때 적합해요.

예:

  • "올바른 태도로 문제를 해결했어요."
  • "사회에서는 올바른 시민 의식이 중요해요."

선택과 결정

어떤 선택이 적합하고 정당함을 나타낼 때도 "올바르다"를 사용해요.

예:

  • "이것이 올바른 선택인지 고민했어요."
  • "결정 과정에서 올바른 판단이 필요해요."

방향과 목표

"올바르다"는 추상적인 방향이나 목표가 적합함을 표현할 때도 자주 사용돼요.

예:

  • "우리는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어요."
  • "목표를 세울 때 올바른 가치를 고려해야 해요."

잘못된 사용 사례: 옳바르다

"옳바르다"라는 표현은 비표준어이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맞아요. 간혹 말하는 사람의 의도를 이해할 수는 있지만, 정확한 국어 표현이 아니기 때문에 글을 작성하거나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반드시 "올바르다"를 사용해야 해요.

잘못된 예:

  • "옳바른 태도" → "올바른 태도"
  • "옳바른 결정" → "올바른 결정"

올바르다와 관련된 자주 묻는 질문

Q1. "옳다"와 "올바르다"를 함께 사용해도 되나요?

네, 가능해요. 두 단어는 의미적으로 비슷하지만, 사용 맥락이 다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옳은 생각을 올바르게 실천하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어요.

Q2. "올바르다"를 대신할 수 있는 다른 표현이 있나요?

"정확하다", "적절하다", "바람직하다" 같은 표현을 맥락에 따라 사용할 수 있어요. 하지만 의미가 완전히 같지는 않으니 주의해야 해요.

Q3. "옳바르다"가 비표준어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국립국어원에서 인정하는 표준어 규정에 따르면 "옳바르다"는 "옳다"와 "바르다"를 혼합해 잘못 만들어진 형태예요. 따라서 국어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비표준어로 간주돼요.

맺음말

우리말에서 "올바르다"는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단어예요. 반면 "옳바르다"는 비표준어로, 올바른 표현이 아니에요. 이 글을 통해 두 단어의 차이와 정확한 사용법을 이해하셨길 바랄게요.

올바른 언어 사용은 소통의 기본이자 아름다운 우리말을 지키는 길이에요. 앞으로도 바른 표현으로 정확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해보세요!

많이 본 글

 

롱테일 키워드란? 롱테일 키워드 찾는 방법. SEO, 유입.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운영할 때 검색 엔진 최적화(SEO) 전략은 필수예요. 그중에서도 롱테일 키워드는 많은 트래픽을 유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요. 롱테일 키워드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검

patriotkr.tistory.com

 

여미새란? 뜻, 특징, 총정리.

'여미새'라는 단어는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신조어로, '여자에 미친 새끼'의 줄임말이에요. 이 단어는 지나치게 여성을 밝히는 남성을 지칭하는 말로, 주로 남성들이 여성에

patriotkr.tistory.com

 

인스타그램 팔로워 늘리는 6가지 방법

인스타그램은 현재 가장 인기 있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중 하나로, 개인뿐만 아니라 브랜드와 비즈니스에 있어서도 강력한 마케팅 도구로 자리 잡았어요. 팔로워 수는 인스타그램에서 영향력을

patriotkr.tistory.com

 

딥러닝이란? 뜻, 학습 방법과 응용 분야.

딥러닝(Deep Learning)은 인공지능(AI) 기술의 중요한 분야 중 하나로, 최근 몇 년간 급속한 발전을 이루며 다양한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딥러닝은 특히 이미지 인식, 음성 인식, 자연어

patriotkr.tistory.com